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더리움10

Solana(솔라나) vs Ethereum(이더리움) – 속도, 구조, 그리고 철학의 차이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4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13편]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같은 블록체인 영역에서 출발했지만, 우선순위와 설계 철학이 다릅니다. 이더리움은 탈중앙 합의의 정당성을 위해 속도를 희생했고, 솔라나는 사용자 경험(UX) 일관성을 위해 구조를 단순화했습니다. 실무에서는 전자가 신뢰 인프라의 기준점으로, 후자가 실사용 전면을 확장하는 축으로 역할이 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1) 이더리움 vs 솔라나: 철학과 사용성의 대비이더리움은 거래 기록을 네트워크 다수의 검증자가 합의로 확정합니다. 처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지만 결과에 대한 정당성과 검열 저항성을 얻습니다.반대로 솔라나는 합의 이전에 거래 순서를 Proof of History(P.. 2025. 10. 27.
비탈릭 부테린의 비전과 미래 로드맵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2편▶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 이더리움은 2015년 등장 이후, 끊임없이 스스로를 해체하고 다시 짜 맞추며 진화해 온 블록체인입니다.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제시한 로드맵은 단순한 기술 일정표가 아니라, ‘탈중앙화된 네트워크가 어떻게 효율성과 신뢰를 함께 가져갈 수 있는가’에 대한 긴 여정의 지도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그 로드맵의 여섯 단계—머지, 서지, 스커지, 버지, 퍼지, 스플러지—가 무엇을 의미하며, 2025년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함께 살펴봅니다.로드맵과 하드포크의 관계이더리움의 로드맵에 등장하는 ‘머지(Merge)·서지(Surge)·스커지(Scourge)·버지(Verge)·퍼지(Purge)·스플러지(Splur.. 2025. 10. 21.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솔라나, 아발란체, 폴카닷, 코스모스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1편입니다.▶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NFT와 메타버스 – 기록과 소유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실현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생태계의 중심에서 오랫동안 ‘표준’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성숙하면서 다른 프로젝트들이 저마다의 전략으로 등장했고, 이제는 여러 경쟁자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valanche, Polkadot, Cosmos, Solana라는 네 개의 주요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이더리움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속도를 무기로 한 블록체인 – Solana와 Avalanche블록체인을 이해할 때 가장 자주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TPS(초당 거래 수)’입니다. 이더리움이 레이어 2 확장을 도.. 2025. 10. 4.
NFT와 메타버스 – 기록과 소유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실현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0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디앱과 생태계 | 다음 편: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NFT의 출발 – 왜 블록체인인가인터넷의 파일은 복사해도 원본과 구분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건 내 것”이라고 주장해도 모두가 납득할 공용 기준이 없었습니다.NFT는 이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했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고유 식별자와 소유권 이력을 붙이고, 그 기록을 공개 장부에 남기는 방식입니다.이 장부는 여러 노드가 동시에 보관·검증하기 때문에, 누군가 마음대로 바꾸거나 지울 수 없습니다. 핵심을 정리하면 세 가지입니다.• 위·변조 난이도 – 거래가 다수 노드에 복제되어 저장·검증됨• 소유 증명 – 소유자는 개인키로 서명, 누구나 검증 가능• 공개 표준 – ER.. 2025. 9. 25.
이더리움 가스비와 토큰 이코노미 – 왜 수수료를 내야 하고, 어떻게 절약할까?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6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레이어1과 레이어2 차이점 은행에서 돈을 송금할 때 수수료를 내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이더리움에서 거래할 때 내는 '가스비'는 왜 필요한 걸까요? 2025년 들어 이더리움 가스비는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덴쿤 업그레이드로 인해 평균 가스비가 95% 감소했고, 앞으로 2년 안에 1센트(13원)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입니다. 이런 변화가 가져올 파급효과는 무엇일까요?이번 글에서는 가스비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부터 시작해서, 토큰 이코노미와의 관계, 그리고 최신 업그레이드가 우리에게 가져다준 실질적 혜택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가스비의 본질과 작동 원리 – 블록체인 컴퓨터의 연산 비용 이해하기이더리움을 .. 2025. 8. 25.
레이어1과 레이어2 차이점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5편입니다.전체 시리즈를 보고 싶다면 여기를 확인하세요. 블록체인에서 거래가 몰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마치 출퇴근 시간에 모든 차가 한두 개 도로에만 몰려 극심한 정체가 생기는 것과 같습니다. 이더리움 같은 대표적인 블록체인은 바로 그 ‘주요 도로망(메인넷)’인데, 여기에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 디파이 거래까지 한꺼번에 몰리면서 가스비가 비싸지고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레이어1과 레이어2입니다. 레이어1은 블록체인의 뼈대가 되는 기본 도로망, 레이어2는 그 위에 만들어진 고속도로 확장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1은 블록체인의 뼈대레이어1(Layer 1)은 가장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즉 블록체인의 뼈대.. 2025.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