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파이2

이더리움 디앱(DApp)과 생태계-게임 금융 NFT의 실험장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9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이더리움 하드포크:진화의 역사 | 다음 편: NFT와 메타버스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위에 자체 실행 환경을 통해 “탈중앙 컴퓨터”로 불리는 실행 환경을 구현합니다. 이 위에서 동작하는 작은 프로그램을 디앱(DApp)이라고 하며, 중앙 서버나 운영자 승인 없이 스마트컨트랙트가 약속을 자동으로 실행합니다. 본 편에서는 디앱이 생활에서 실제로 펼쳐 보인 세 가지 무대—게임과 엔터테인먼트, 금융의 변화(DeFi), NFT와 메타버스의 토큰 경제—를 순서대로 살펴봅니다. 디앱을 통한 사용 경험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흔적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생활 속 첫 무대디앱이 생활 속으로 가장 먼저 들어온 영역은.. 2025. 9. 16.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 비트코인과 무엇이 다른가?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편입니다.전체 시리즈를 보고 싶다면 여기를 확인하세요.이더리움은 블록체인 2세대로 불립니다.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가치 저장과 결제 기능에 집중했다면, 이더리움은 ‘월드 컴퓨터(World Computer)’라는 목표를 가지고 등장했습니다.그렇다면 왜 비트코인 이후 이더리움이 필요했고, 무엇이 달랐을까요?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 생태계의 시작, 이더리움이더리움의 탄생 배경2013년 캐나다 출신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이 단순 금융 거래만 처리하는 데 그친다면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그는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탈중앙 앱(DApp)이 실행되는 플랫폼을 제안했습니다.이 아이디어는 2015년.. 2025.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