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19 비탈릭 부테린의 비전과 미래 로드맵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2편▶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 이더리움은 2015년 등장 이후, 끊임없이 스스로를 해체하고 다시 짜 맞추며 진화해 온 블록체인입니다.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제시한 로드맵은 단순한 기술 일정표가 아니라, ‘탈중앙화된 네트워크가 어떻게 효율성과 신뢰를 함께 가져갈 수 있는가’에 대한 긴 여정의 지도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그 로드맵의 여섯 단계—머지, 서지, 스커지, 버지, 퍼지, 스플러지—가 무엇을 의미하며, 2025년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함께 살펴봅니다.로드맵과 하드포크의 관계이더리움의 로드맵에 등장하는 ‘머지(Merge)·서지(Surge)·스커지(Scourge)·버지(Verge)·퍼지(Purge)·스플러지(Splur.. 2025. 10. 21.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솔라나, 아발란체, 폴카닷, 코스모스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1편입니다.▶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NFT와 메타버스 – 기록과 소유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실현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생태계의 중심에서 오랫동안 ‘표준’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성숙하면서 다른 프로젝트들이 저마다의 전략으로 등장했고, 이제는 여러 경쟁자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valanche, Polkadot, Cosmos, Solana라는 네 개의 주요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이더리움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속도를 무기로 한 블록체인 – Solana와 Avalanche블록체인을 이해할 때 가장 자주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TPS(초당 거래 수)’입니다. 이더리움이 레이어 2 확장을 도.. 2025. 10. 4. NFT와 메타버스 – 기록과 소유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의 실현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10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디앱과 생태계 | 다음 편: 경쟁 블록체인과 비교NFT의 출발 – 왜 블록체인인가인터넷의 파일은 복사해도 원본과 구분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건 내 것”이라고 주장해도 모두가 납득할 공용 기준이 없었습니다.NFT는 이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했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고유 식별자와 소유권 이력을 붙이고, 그 기록을 공개 장부에 남기는 방식입니다.이 장부는 여러 노드가 동시에 보관·검증하기 때문에, 누군가 마음대로 바꾸거나 지울 수 없습니다. 핵심을 정리하면 세 가지입니다.• 위·변조 난이도 – 거래가 다수 노드에 복제되어 저장·검증됨• 소유 증명 – 소유자는 개인키로 서명, 누구나 검증 가능• 공개 표준 – ER.. 2025. 9. 25. 이더리움 디앱(DApp)과 생태계-게임 금융 NFT의 실험장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9편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이더리움 하드포크:진화의 역사 | 다음 편: NFT와 메타버스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위에 자체 실행 환경을 통해 “탈중앙 컴퓨터”로 불리는 실행 환경을 구현합니다. 이 위에서 동작하는 작은 프로그램을 디앱(DApp)이라고 하며, 중앙 서버나 운영자 승인 없이 스마트컨트랙트가 약속을 자동으로 실행합니다. 본 편에서는 디앱이 생활에서 실제로 펼쳐 보인 세 가지 무대—게임과 엔터테인먼트, 금융의 변화(DeFi), NFT와 메타버스의 토큰 경제—를 순서대로 살펴봅니다. 디앱을 통한 사용 경험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흔적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생활 속 첫 무대디앱이 생활 속으로 가장 먼저 들어온 영역은.. 2025. 9. 16. 이더리움 하드포크:진화의 역사 📚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8편입니다.▶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PoW vs PoS – 채굴에서 스테이킹으로이더리움 하드포크: 진화의 역사 -->블록체인은 항상 앞으로만 나아갑니다. 새로운 블록이 이전 블록 위에 쌓이고, 한번 기록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규칙을 바꿔야 할 때가 옵니다. 모든 참여자가 동의하면 체인은 그대로 이어지지만, 의견이 갈리면 선로가 두 갈래로 나뉘듯 블록체인도 갈라집니다. 이것이 하드포크입니다.DAO 해킹 사건: 첫 번째 갈림길 (2016)2016년 DAO라는 프로젝트가 해킹당해 360만 개의 이더가 탈취되었습니다. 커뮤니티는 두 진영으로 나뉘었습니다. "해킹 피해를 되돌려 투자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쪽과 "블록체인은 불변성을 유지해야 한다".. 2025. 9. 6. PoW(작업증명) vs PoS(지분증명) – 채굴에서 스테이킹으로 이 글은 ‘블록체인 심층 시리즈’ 7편입니다.▶ 전체 시리즈 보기 | 이전 편: 이더리움 가스비와 토큰 이코노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채굴(mining)’이라고 부른다는 사실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이 말이 실제로는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로 컴퓨터를 돌려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조금 놀라게 됩니다.실제로 히말라야 산기슭의 작은 나라 부탄은 이런 채굴을 통해 수천억 원대의 수익을 올린 사례로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남는 전기를 활용해 국가 차원에서 채굴을 해온 것이죠.이런 이야기는 블록체인 기술이 현실 세계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하지만 지금 이더리움에서는, 그런 방식의 채굴이 더 이상.. 2025. 9. 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