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경쟁 (GENIUS Act 이후 진입 확대)

by inandin23 2025. 7. 3.

2025년 현재 미국에서는 제도권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본격화되며, 기존 가상자산 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결제 기업, 자산운용사, 핀테크 기업들까지 속속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GENIUS Act 통과 이후, PayPal, Circle을 비롯해 Stripe, Visa, Fidelity 등 유력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 또는 연동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달러 생태계의 확장을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요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진입 전략과 시장 내 파급력을 분석합니다.
 

페이팔, 서클은 현재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여 유통하고 있습니다.

1. 현재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중인 주요 기업들

PayPal – PYUSD (소매용 선두 주자):
Paxos와 협력해 2023년부터 PYUSD를 발행해 왔으며, 2025년 현재 규제 승인이 완료된 민간 스테이블 코인 중 유일하게 글로벌 유통 중인 사례입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PayPal 앱 및 Venmo 내 결제·보상 시스템과 통합되어, 미국 사용자들이 실물 달러 없이 디지털 결제를 가능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PYUSD는 소매 소비자와의 크리에이터 수익화 도구로 확장시키며 디지털 지갑 기반 실사용 모델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Circle – USDC(기관 및 글로벌 확장 중심):
USDC는 이미 다양한 블록체인(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등)에 배포되어 있으며, GENIUS Act 기준을 충족해 미국 내 정식 발행사로 승인받았습니다.
Circle은 2025년 기준 블랙록, 피델리티 등과의 협업으로 기관 결제용 스테이블코인 채널을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 및 중앙은행과의 테스트 협약도 진행 중입니다.
USDC는 또한 Google Pay, Stripe 결제망과도 연동되어 글로벌 기업 간 결제 표준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 스테이블코인 진입 예정인 유력 기업들

Stripe: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기업 인수, USDC 통합, 국제 결제 최적화를 통해 전통금융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을 추구합니다.  신용카드 수수료 절감과 정산 시간 단축이 특징이며, 글로벌 전자상거래 정산을 간소화시키려는 목적 하에 광범위한 실사용처를 가질 후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Visa:
자체 코인 발행은 없지만, 다중 네트워크 결제 연동 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처리 허브를 구축하는 중입니다. Visa B2B Connect를 통해 실시간 USDC 결제를 지원하며, Visa Direct에 USDC 송금을 통합할 수 있도록 시스텝 개편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Visa는 디지털 결제의 인프라 역할을 하며 스테이블 코인 결제 게이트웨이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Fidelity:
Fidelity Digital Assets는 기관 대상 암호화폐 보관/관리 서비스를 제공, 기관 투자자 중심의 유동성 솔루션을 강화하는 상품을 준비 중이며, 규제 준수 강화를 통해 기존 금융 인프라와의 안정적 통합을 추구합니다. 또한 실물경제 토큰화를 통해 유동성 관리도구로 활용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Robinhood:
싱가포르 유럽 등 글로벌 달러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토큰화 상품 출시 등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서 플랫폼 중개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기존 인프라의 활용과 파트너십을 통한 생태계 확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자체 발행 스테이블 코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의 스테이블 코인 시장 진출은 글로벌 디지털 달러 사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시장 파급력과 향후 전망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단순 암호화폐의 영역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전환을 이루고 있습니다:

  • 실사용 결제 수단으로의 정착: PayPal, Stripe, Visa 등 결제 인프라가 직접 연결되며 실제 소비에 사용
  • 기관 전용 청산 및 운용 플랫폼: USDC, Fidelity 모델을 중심으로 채권·파생상품 청산 대체 수단으로 진화
  • 소매투자자 기반의 확산: Robinhood, PayPal 등의 모델을 통해 소비자 직접 채택 비중 증가
  • 규제 수용 기업 중심 시장 재편: GENIUS Act 기준을 충족한 기업들이 거래소 및 금융기관 연계 우선권 확보

이러한 흐름은 민간 주도 디지털 달러 인프라 형성의 실질적인 시작이며, 향후 스테이블코인은 다양한 용도로 구분된 다층 시장을 형성할 전망입니다. 주요 기업들은 발행사, 결제사, 자산운용사, 투자 플랫폼 등 각자의 영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디지털 금융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준비금 투명성 문제가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있으나 전통 금융기관의 디지털 금융으로의 시장 진출이 빠르게 진행되며 글로벌 결제 표준이 재편돼 가고 있는 지금, 단순 투자 상품을 넘어 디지털 달러 기반 실물경제 연결 수단으로 이해하고 대응할 때입니다.
 
다음으로는 글로벌 디지털 금융의 게임체인저를 준비하는 리플 코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