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페토 vs 샌드박스 (Web2.0, Web3.0, 경제 구조)

inandin23 2025. 7. 19. 23:10

메타버스는 게임처럼 놀 수 있는 공간이면서, 실제 돈을 벌 수 있는 경제 구조까지 갖춘 새로운 디지털 세계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Web2.0 기반의 대표 메타버스 ‘제페토’와 Web3.0 기반의 ‘샌드박스’를 비교해 봅니다. 두 플랫폼은 모두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로 활동하지만, 구조, 소유 개념, 돈 버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메타버스의 기본 개념과 함께, 어떤 플랫폼이 어떤 목적에 더 적합한지 쉽고 직관적으로 설명해 드립니다.

제페토와 샌드박스는 web2.0과 web3.0의 대표 플랫폼입니다.

제페토는 쉽게 접근 가능한 Web2.0 메타버스

제페토(ZEPETO)는 스마트폰 앱만 설치하면 누구나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네이버의 자회사에서 만든 소셜 메타버스입니다. 내가 만든 아바타로 옷을 입히고, 배경을 꾸미고, 다른 사람들과 놀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특히 나이키, 구찌, 바나나우유 같은 실제 브랜드와 협업한 옷이나 공간도 만나볼 수 있어서 ‘가상에서 브랜드를 경험하는 재미’가 큽니다. 이 플랫폼은 Web2.0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내가 산 아이템이나 배경은 모두 제페토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진짜 ‘내 것’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쉽게 말하면, 플랫폼 안에서만 쓸 수 있는 디지털 소품인 셈입니다. 하지만 접근성이 높고 사용이 쉬워서,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많은 사람들이 친구들과 함께 놀고 꾸미며 즐기고 있습니다. 수익 구조는 대부분 플랫폼(제페토 회사)에 돌아가며, 일반 이용자가 직접 수익을 얻는 구조는 제한적입니다.

 

샌드박스는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고 거래하는 Web3.0 메타버스

샌드박스(The Sandbox)는 블록체인 기반의 Web3.0 메타버스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내가 가진 디지털 자산이 ‘진짜 내 것’이라는 점입니다. 샌드박스에서는 LAND라는 가상의 땅을 NFT로 구매할 수 있고, 내가 만든 아이템이나 공간도 NFT로 소유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 플랫폼에서는 SAND라는 자체 코인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며,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만든 게임이나 전시 공간에 유저가 방문하면, 입장료를 받거나 NFT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죠. 하지만 시작 단계가 다소 어렵습니다. 암호화폐 지갑이 필요하고, 토큰을 구매해야 하며, 기본적인 블록체인 이해도 있어야 진입이 수월합니다. 그만큼 Web2.0보다 복잡하지만, 자산 소유와 수익화 측면에서는 강력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제페토와 샌드박스의 경제 구조와 가치 비교

두 플랫폼 모두 메타버스라는 점은 같지만, 구조와 경제성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제페토는 아바타 꾸미기 중심의 놀이 공간으로, 직접적인 수익보다는 콘텐츠 소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내가 산 아이템은 외부로 옮길 수 없고, 플랫폼 안에서만 사용됩니다. 반면 샌드박스는 ‘소유’와 ‘수익’이 중심입니다. NFT로 자산을 진짜 소유할 수 있고, 이를 외부에서 팔거나 교환할 수도 있습니다. 제페토가 ‘소비형 메타버스’라면, 샌드박스는 ‘투자형 메타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브랜드 활용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제페토는 쉽게 접근 가능한 대중 브랜드 콜라보(빙그레, 나이키, 블랙핑크 등)가 활발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는 구찌, 아디다스 같은 브랜드가 땅을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면서, 더 고급스럽고 투자자 중심의 브랜드 경험을 제공합니다.

 

제페토와 샌드박스는 같은 ‘메타버스’지만 그 성격은 완전히 다릅니다. 제페토는 쉽게 시작할 수 있고, 친구들과 놀고 브랜드 아이템을 경험하는 데 적합합니다. 하지만 내가 가진 아이템이 진짜 자산이 되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샌드박스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내가 만든 콘텐츠를 ‘자산’으로 만들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다만 시작이 복잡하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결국, 메타버스를 ‘즐기고 싶은가’ 아니면 ‘만들고 소유하고 싶은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재미 중심이면 제페토, 수익 중심이면 샌드박스—이 단순한 기준만 기억하면, 초보자도 메타버스를 더 쉽게 이해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암호화폐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주요 코인들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으로는 거래소 상위 코인들의 실제 기능과 가격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