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디지털자산기본법, 한국 디지털금융의 전환점

규제와 혁신의 균형-샌드박스와 실증 환경 가능성

inandin23 2025. 8. 18. 23:58
반응형
📚 시리즈: 2025 디지털자산기본법, 한국 디지털금융의 전환점
이 글은 3편입니다. 1편(큰 그림)과 2편(주체별 영향) 이후, 이번에는 샌드박스와 실증 환경을 다룹니다. 시리즈 전체 보기

샌드박스는 모래놀이터와 같이 일정한 조건에서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를 한정된 조건에서 안전하게 실험해볼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규제와 혁신의 균형 – 샌드박스와 실증 환경 가능성

디지털자산 시장은 기술 변화가 빠르고, 제도는 늘 한 발 늦습니다. 이 간극을 안전하게 메우는 장치가 바로 샌드박스(한정된 조건에서의 제도적 실증)입니다. 샌드박스는 ‘무규제’가 아니라, 기간·대상·책임 범위를 명확히 정하고 감독 하에 실험하도록 설계됩니다.

본 글에서는 샌드박스의 의미, 해외 사례, 한국의 현황과 과제를 차례대로 설명하고, 정부·업계·투자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체크리스트를 제시합니다. 또한 8월에 발족한 민관 디지털자산 TF가 이 논의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도 간단히 짚어봅니다.

 

 

샌드박스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샌드박스는 본래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모래 놀이터에서 유래한 개념입니다. 규제 문맥에서는 “한정된 범위에서 새로운 기술·서비스를 실제 환경에 가깝게 시험할 수 있게 하는 제도”를 뜻합니다.

핵심은 ‘실전 같은 환경 + 관리 가능한 위험’의 조합입니다.

 

일반적으로 샌드박스는

  ① 기간 한정(예: 6~24개월)

  ② 이용자·금액·영업 범위 제한

  ③ 감독기관의 정기 보고·가이드라인 준수

  ④ 사고 시 책임 한도·피해 구제 계획

같은 장치를 포함합니다.

 

덕분에 감독당국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업은 책임 가능한 범위에서 혁신을 검증하며, 이용자는 위험·보호 수준을 인지한 상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자산에서는 스마트컨트랙트·브리지·오라클 같은 온체인 기술 리스크, 커스터디·시장조작 같은 거버넌스 리스크가 얽혀 있습니다. 샌드박스는 이 리스크를 ‘테스트 가능한 단위’로 쪼개어 검증하고, 결과를 시행령·감독규정 개선에 반영하게 해 줍니다. 즉, 규제와 혁신 사이의 완충지대입니다.

 

해외 사례로 보는 실증 디자인

영국 금융감독청(FCA) 샌드박스는 핀테크·암호화 서비스들이 소규모 이용자·한정 기능으로 출발해 정식 인가로 이어지는 통로를 열었습니다. 중요한 시사점은 ‘실험→평가→인가·확대’의 연결성을 제도 안에서 보장했다는 점입니다.

싱가포르 통화청(MAS)국경 간 결제·디지털화폐 파일럿을 적극 허용해 글로벌 테스트베드 역할을 했습니다. 표준화된 보고·감사·기술 보안 요건을 제시하여, 실증의 질을 높이고 해외 사업자의 참여 문턱을 낮췄습니다.

일본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토큰화 프로젝트에 대해 단계적 규제 완화협의체 운영을 병행했습니다.

 

위와 같은 사례는 샌드박스가 단순 ‘완화조치’가 아니라, 제도권 편입 경로를 설계하는 공공 인프라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혁신과 규제의 균형을 맞춰 블록체인 기술이나 디지털 자산의 성장할 수 있도록 전용 실증 트랙이 필요합니다.

한국의 현황과 과제: 전용 실증 트랙 가능성

한국에는 ICT 규제 샌드박스금융혁신 샌드박스가 운영 중입니다. 간편결제·로보어드바이저처럼 비(非)토큰형 서비스는 제도를 통해 정식 인가로 진화한 전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자산 전용 샌드박스는 아직 미비합니다.

디지털자산 영역(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 탈중앙금융, 실물연계자산 등)은 자본시장·전자금융·특금 등 다양한 법과 맞물립니다. 이 때문에 기존 샌드박스만으로는 온체인 리스크(코드·브리지·오라클) + 오프체인 리스크(커스터디·공시·시장감시)통합 설계하기 어렵습니다.

 

현실적 해법은 디지털자산 전용 실증 트랙입니다.

 

 예시 설계:

  ① 테스트넷/리미티드 메인넷 운영

  ② 감독기관·민간이 참여하는 기술·보안 기준(코드 감사·키관리·사고 대응) 적용

  ③ 소비자 보호(한도·공시·피해 구제)

  ④ 평가 지표(안정성·이용자 만족·비용·속도)로 정식 전환을 심사.

 

8월 발족한 민관 디지털자산 TF는 이러한 트랙의 세부 기준·우선 분야(예: 원화 연동형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제 준수형 커스터디, 국경 간 결제) 선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천 체크리스트
  • 정부: 샌드박스→정식 전환 로드맵 명문화(기간·평가·책임 한도)

                   TF와 연계해 우선 분야·보안 기준(코드·커스터디·오라클) 확정.

  • 업계: 파일럿 범위·이용자 보호·리스크 시나리오를 설계서에 명확화. 온체인/오프체인 데이터 리포트 템플릿 준비.
  • 투자자: 샌드박스 참여 서비스는 표식·공시를 확인(기간·한도·보호 수준). 테스트 참여는 소액·분산 원칙.

 

 

Q&A — 자주 받는 질문

Q1. 샌드박스에서 투자하면 안전한가요?
절대 안전은 아닙니다. 다만 감독 하의 모니터링책임 한도·구제 장치가 있어 일반 시장보다 위험이 명시되고, 사고 대응이 빠릅니다.

Q2. 일반 투자자도 샌드박스에 참여할 수 있나요?
설계에 따라 다릅니다. 대체로 기관·기업 중심이지만, 일부 파일럿은 소액·제한적 참여가 가능합니다. 참여 시 기간·한도·환불/보상 규정을 꼭 확인하세요.

Q3. 디지털자산기본법과 샌드박스는 어떤 관계인가요?
법은 틀(정의·인허가·보호)을 세우고, 샌드박스는 그 틀 안에서 안전하게 실험하는 공간입니다. 샌드박스 성과는 시행령·감독규정 개선에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마무리 — 실험이 제도를 견인한다

디지털자산기본법이 규칙을 세운다면, 샌드박스는 그 규칙을 현장 데이터로 보완하는 엔진입니다. 한국이 글로벌 테스트 허브로 도약하려면, 전용 실증 트랙을 민관 TF와 함께 빠르게 디자인하고, 정식 전환 로드맵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다음 4편에서는 핵심 규정 뜯어보기(스테이블코인·거래소·위원회 제도)를 통해, 실증에서 얻은 인사이트가 어떤 규정에 반영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시리즈 전체 보기

반응형